NETWORK (4) 썸네일형 리스트형 TCP UDT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불필요 http method 차단 개념 https://ojava.tistory.com/171 [보안취약점] 웹 서비스 메소드 설정 공격 조치방안 웹 서비스 메소드라하면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익숙한 단어로 얘기하자면 HTTP METHOD이다. Request를 보낼 때, method로 지정하는 GET과 POST가 가장 많이들 접해봤을 방식인데, RESTful 형태를 많이 ojava.tistory.com https://sanghaklee.tistory.com/61 REST API 관점에서 바라보는 HTTP 상태 코드(HTTP status code) REST API 관점에서 바라보는 HTTP 상태 코드(HTTP status code) REST API 관점에서 바라보는 HTTP 상태 코드(HTTP status code) TOC Introd.. http status https://sanghaklee.tistory.com/61 REST API 관점에서 바라보는 HTTP 상태 코드(HTTP status code) REST API 관점에서 바라보는 HTTP 상태 코드(HTTP status code) REST API 관점에서 바라보는 HTTP 상태 코드(HTTP status code) TOC Introduction HTTP 와 REST HTTP Status Code 2XX Success 4... sanghaklee.tistory.com 로드 밸런서 https://pakss328.medium.com/%EB%A1%9C%EB%93%9C%EB%B0%B8%EB%9F%B0%EC%84%9C%EB%9E%80-l4-l7-501fd904cf05 로드밸런서란?(L4, L7) 서버 부하 분산을 위해 로드밸런서를 이용한다. 근래들어 L7을 많이 이용하고 이전에 많이 사용하던 장치는 L4였다. 추상적으로만 알고 있던 L7과 L4에 대해 정리를 해보았다. pakss328.medium.com 이전 1 다음